■ 서두 – 묻혀 있던 그림자가 드러나다
202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서울 양재동 서희건설 사옥 11층.
겉으로는 평범한 임대 사무실이었지만, 내부에서는 공식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되지 않은 ‘비밀 캠프’가 가동되고 있었다는 의혹이 최근 수사 과정에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곳은 당시 윤석열 후보를 비선 채널로 지원하던 전성배(일명 ‘건진법사’) 씨가 주도한 공간으로 지목되고 있다.
■ 위장과 은폐 – 현수막 뒤의 진실
관계자 증언에 따르면, 해당 공간은 시민단체 사무실 현수막을 내걸고 외부 시선을 피했다.
공식 선대위가 아닌, 별도의 비선 조직이 선거 전략과 인맥 관리, 물밑 여론전을 벌였다는 것이다. 이 ‘양재동 캠프’는 정치권에서 ‘그림자 캠프’로 불리며, 정식 등록 없이 활동한 점에서 선거법 위반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 서희건설과의 연결고리
의혹의 핵심은 이 캠프 운영에 필요한 공간과 비용이 서희건설을 통해 제공되었는지 여부다.
특검은 서희건설이 사옥 일부를 임대 형태로 제공했는지, 혹은 무상 지원했는지를 집중 추적 중이다. 만약 무상 또는 특혜 제공이 입증된다면, 이는 기업의 정치 자금 제공 및 대가성 지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회사 측 해명과 수사의 향방
서희건설 측은 “해당 층은 상시 임대 운영 중이며, 입주사에 대한 정치 활동 여부는 알지 못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특검은 임대 계약서, 임대료 납부 내역, 출입기록 등을 확보해 사실관계를 검증하고 있다.
현재 수사는 ‘목걸이 로비 의혹’, ‘인사 청탁’ 등 다른 서희건설 관련 사건과 함께 정치권-기업 간 은밀한 연결 구조를 전방위적으로 파고들고 있다.
■ 왜 지금, 다시 주목받는가
3년 전 사건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당시 대선 과정에서 비선 조직이 실제로 선거 전략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의혹은 기업이 정치에 개입해 어떤 이익을 취했는지, 그리고 그 대가로 국가 정책이 왜곡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 결론 – ‘양재동 11층’의 의미
서희건설 비밀캠프 의혹은 단순한 사무실 임대 문제가 아니다.
이 사건은 정치와 자본이 어떻게 교차하며, 은밀하게 권력을 형성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수사 결과가 어떻게 결론 나든,, 이번 사건은 한국 정치의 투명성과 기업 윤리를 둘러싼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