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룰루", "트래드와이프", "스키비디", 새로 포함된 단어들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에서 발행하는 영어 사전에 글로벌 문화 트렌드를 반영한 신조어가 대거 등재되었습니다. 특히 케이팝 팬덤에서 유래한 밈 '딜룰루'가 공식적으로 등재된 것이 주목할 만합니다. 추가 목록을 보면 인터넷 밈과 SNS 문화가 언어의 일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밈의 "스키비디(skibidi)"
"스키 비디"는
"스키비디 토일렛(skibidi toilet)"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상황에 따라 특별한 의미보다는 '멋지다' 또는 '별로 좋지 않다'로 사용됩니다,
때때로 의미 없이 농담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온라인 세대의 자유로운 언어 놀이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유튜브 애니메이션 스키비디 토일렛에서 파생됨
-용도 : 상황에 따라 멋지다 또는 별로다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때로는 의미 없이 농담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딜룰루(delulu)"는 K-pop 팬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딜룰루"는 "망상적"을 의미하며, "딜루저널(delusional)”의 줄인 말입니다
"아이돌과 데이트할 수 있다"와 같은 비현실적인 망상을 표현할 때
팬덤 내에서 조롱과 농담 섞인 자조의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전 세계 팬덤을 통해 확산되어 사전에 등재된 사례가 되었습니다.
-의미 : 망성적 이라는 뜻의 딜루저널(delusional)의 약식형
-사용 : "아이돌과 데이트할 수 있다"와 같은 비현실적인 망상을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단어
전통적인 아내 이미지를 의미하는 "트래드와이프(Tradwife)"
"트래드와이프(Tradwife)"는 전통적인 아내 이미지를 지향하는 SNS 인플루언서들을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가족을 돌보고 남편을 내조하는 전통적인 가치를 자발적으로 강조하는 콘텐츠가 인스타그램과 틱톡에 퍼졌고, 그 단어 자체가 사회 현상의 대표적의미로 사용 되었습니다.
언어에 스며든 밈과 SNS 문화
이번에 케임브리지 사전에 등재된 단어들은 온라인 밈과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이 특징입니다.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이 재확인되었습니다.
특히 '딜룰루'와 같은 특정 팬덤에서 유래한 용어가 글로벌 유행어가 된 것은 K-pop 문화의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 트래드와이프 # K팝 팬덤밈 # 신조어 # 케임브리지사전 # 딜룰루 # 스키비디 # 글로벌문화 #